|
근로기준 |
소정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고정적인 야간교대수당은 통상임금에 해당
|
|
근로기준 |
고정시간외수당(고정OT수당)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
|
|
근로기준 |
텔레마케터(전화상담원)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을 인정한 사례
|
|
근로기준 |
묵시적 의사표시에 의한 해고를 인정하기 위한 기준
|
|
근로기준 |
근로자에게 취업규칙 불리하게 바꿀 때 근로자의 집단적 동의 없으면 원칙적으로 무효
|
|
근로기준 |
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, 합리적 보상 없으면 나이 차별
|
|
근로기준 |
호봉제를 성과연봉제로 변경하는 것은 불이익변경으로 근로자 동의 필요
|
|
근로기준 |
연차수당은 통상임금으로 지급해야 하고, 휴일을 대체휴가일로 정할 수 없다
|
|
근로기준 |
퇴직금을 일당 속에 포함하여 지급하는 약정의 효력(무효)과 퇴직금 사전 포기 약정의 효력(무효)
|
|
근로기준 |
외국인 근로자에게도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이 적용된다.
|
|
근로기준 |
퇴직연금에 대한 압류명령의 효력
|
|
근로기준 |
해고가 부당하여 효력이 없더라도 근로자는 해고예고수당을 지급받은 수 있으므로 반환할 필요는 없다
|
|
근로기준 |
근로자가 연차휴가를 미사용함에 따라 청구할 수 있는 연차휴가수당이 임금인지 여부
|
|
근로기준 |
법 위반인 취업규칙 또는 단체협약의 개정은 노동조합의 동의를 얻었더라도 효력이 없다.
|
|
근로기준 |
이사 등에게 지급하는 퇴직연금도 압류금지채권에 해당한다
|
|
근로기준 |
경영주체 변경에 불과하다면 퇴직금 산정시 근속연수를 합산해야
|
|
근로기준 |
취업규칙을 종전보다 불리하게 변경하기 위한 근로자측의 동의방법
|
|
근로기준 |
퇴직금제도의 차등이 인정되는 경우와 동종의 근로자로 보지 않는 경우
|
|
근로기준 |
평균임금으로 인정되기 위한 근로의 대상성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
|
|
근로기준 |
기간제 근로계약에서 계약갱신 기대권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
|
|
근로기준 |
시용기간도 퇴직금 산정 기초인 계속근로기간에 포함해야 한다
|
|
근로기준 |
명절상여금은 통상임금이고,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하여 추가한 법정수당 청구는 신의칙에 위배되지 않는다
|
|
근로기준 |
근무형태의 개편과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여부 기준
|
|
근로기준 |
통신비지원수수료와 원거리지원수수료가 평균임금에 해당하는지 여부
|
|
근로기준 |
임금인상 소급분도 고정성을 갖춘 통상임금에 해당한다
|
|
근로기준 |
대기시간 휴식·수면시간도 지휘·감독을 받고 있다면 근로시간이다.
|
|
근로기준 |
단체협약이 취업규칙보다 근로자에게 더 불리하게 개정된 경우, 취업규칙의 적용이 배제되는지 여부
|
|
근로기준 |
근로조건 변경을 내용으로 하는 자구계획서가 변경된 취업규칙으로서 그 효력이 있다고 한 사례
|
|
근로기준 |
대기시간,휴식, 수면시간도 자유이용이 보장되지 않고 회사의 지휘, 감독하에 놓여 있다면 근로시간
|